본문 바로가기

무역 및 직장 생활정보

(19)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플라스틱 PE, Polyethylene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석유화학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에틸렌 (Ethylene)이 여러개 모여서 만들어지는 고분자 중합체이다. 에틸렌은 원유에서 나오는 '나프타', 혹은천연가스에서 나오는 '에탄'을 통해 만들어진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필름, 식품 용기, 농업용 포장재, 장난감 등 다방면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밀도에 따라 여러가지 폴리에틸렌이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있다. 폴리에틸렌의 종류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가장 대표적으로 비닐봉지가 있음. 농업용 필름, 가정용품 등 용도에 맞게 널리 쓰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터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란? 폴리에스터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하고 가장 널리 쓰이는 합성섬유로 세계 합성섬유(Synthetic fiber) 생산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나일론을 발명한 미국의 캐로더스가 최초로 발명하였다. 합성섬유란, 자연에서 유래한 섬유가 아니라 인간이 만든 인조 섬유로 석유,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여 화학적으로 만든 섬유를 말한다. 그렇다면 폴리에스터는 어떤 작용을 통해 만들어 질까? 원유(Crude Oil)을 끓이는 과정, 정제를 하면 가장 먼저 LPG가 생산이 되고 그 다음 30도~100도 사이에서 우리가 흔히 아는 휘발유(가솔린)가 생산이 된다. 이 때 100도가 넘어가면 중질 가솔린이 나오는데, 이것을 우리는 나프타(Naphtha)..
K직장인 지난 1년을 되돌아보면 나에게는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첫 째, 새로운 회사로 이직을 한 것이다. 새로운 회사에 입사하여 새로운 아이템을 공부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중이다. 둘 째, 사업 소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신경써야 될 부분이 많아졌다. 셋 째, 아빠가 되었다. 이 점은 내 인생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개인적인 시간들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평소 만나던 친구들을 못보게 되고, 어떻게 하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지를 고민하게 되었다. 직장인에게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길이다. 아무리 좋아하는 일이라도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숱한 현타와 부조리 비합리성을 마주할 때가 있다. 특히 K-직장인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한국 사회에서의 조직생활은 정해진..
직수출과 간접수출 다른나라에 물건을 팔 때, 직수출을 하는 경우가 있고 간접수출을 통해 물건을 파는 경우가 있다. 직수출의 경우, 말 그대로 직접수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수출자가 자기 명의로 세관에 신고를 하고 물건을 수출하는 형태의 수출이다. 예를 들어, TV를 수출할 때 TV 생산자가 수출자가 되어 본인 명의로 세관에 신고를 하고 해외에 수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간접수출은 본인 명의로 세관에 신고를하지 않고 수출업체에게 제품을 납품하여 간접적으로 수출을 하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제조업체가 B라는 수출업체에 제품을 판매하고 B가 수출자가 되어 세관에 신고를 하고 수출을 하는 경우인데, 이 때 A라는 제조업체는 직접 수출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출자와 준하게 부가가치세 영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고 관세..
이직 잘하는 방법 현재 만 7년 정도 직장 생활을 하였고 3 번째 회사에 다니는 중이다. 보통 직장인이라면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에 만족하며 다니는 사람이 몇 프로나 될까 싶다. 주변만 봐도.. 거의 열의 아홉은 만족하지 않는다. 아마 지금보다 직장생활을 오래 하게 되서 20년 이상이 되도 만족을 할까? 보통은 타협하고 다니는 거라고 본다. 거의 대부분 대한민국의 직장생활은 보여주기식 자료 준비 및 잦은 회의와 회의자료 준비 등 불필요한 행위가 많다. 중소기업은 덜할지 모르겠는데, 규모가 클수록 유관부서에도 요구하는 자료도 매우 많다. (물론 나는 글로벌 toptier 기업을 다닌 것은 아니라서 소위 말하는 global top! 삼성, SK 등의 기업은 어떨지 잘 모르겠다.) 아무튼 다니면 다닐 수록 현타가 오고 이건 아..
해외영업 자질 아직 짧은 업력 이지만(만 7년 조금 넘음) 그래도 해외영업 직무로만 쉬지 않고 세 번째 회사까지 다니고 있다. 세 곳 모두 아이템은 달랐지만, 직무영역은 공통점이 있었기에 나름 이직을 하면서 현재에 아이템을 다루기 까지 그 동안의 경험이 도움이 많이 되었던 거 같다. 아직 배울게 많고 모르는게 많지만 그래도 해외영업을 생각하는 사회 초년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해외영업사원의 자질 (feat. 독립에 필요한 자질) 1. 적극적인 태도 너무 뻔한 이야기 같지만, 오랜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타성에 젖거나 상당히 보수적이고 소극적으로 업무를 대하는 경우가 있다. 음.. 나는 이런 성향에 분들은 해외영업을 하시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국내영업이든 해외영업이든 영업사원은 고객사, 제품의 ..
무역 결제 조건 (L/C, T/T) 해외 고객사와 제품 판매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물건을 판 대금에 대한 무역 결제 조건은 보통 두 가지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보편적으로 L/C 거래와 T/T 거래를 이용한다. L/C (Letter of Credit) : 신용장 신용장에 의한 대금결제 방식으로 수입자 측 은행 무역거래에 따르는 대금 지불을 수입자 대신 수출자에게 하는 것을 말한다. 수입자 측 은행(신용장 개설은행) 이 수출자 측 은행(매입은행)에 지급하고 이를 수출업자에게 최종적으로 지급해주는 결제 방식으로 수출업자 입장에서 대금 회수에 대한 Risk가 적은 편이다. 다만 중간에 은행을 통해 대금 지급이 이뤄지기 때문에 수수료가 T/T 지급 방식에 비해 비싼 편이며 신용장에 기재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은 서류를 준비할 경우 하자 네고 비용..
직장생활 팁, 퇴사 고민, 이직 고민 요즘 MZ세대들에게 직장이란 어떤 의미일까? 기성세대들 처럼 직장생활에서 '충성'이란 가치를 요즘 신입사원들에게 요구할 수 있을까? 기성세대 라떼라는 분들이 MZ세대에게 바라는 거 조차 대단한 '착각' 이라고 생각한다. 위계 질서, 상하 관계라는 것이 물론 필요할 때도 있지만, 소위 요즘 기업들에서 요구하는 효율과 합리,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인재상과 실제 조직에서 겪는 불합리와 보수적인 위계 관계에서 MZ세대들은 패배감과 우울감을 가지게 된다. 나도 첫 직장에서 막내라는 타이틀과 "그 땐 다 그래" 라는 덧씌움 아래 온갖 불합리하고 비효율적인 분위기 속에서 3년 간 우울한 나날을 보냈던 적이 있었다. 물론 그 세월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에 내가 존재한다 라는 스스로 자위하는 부분도 있고, 그 시절을 미화..
컨테이너 터미널, CY, CFS 무역일을 하다보면 CY, CFS라는 단어를 흔히 듣게 될 것이다. 화물 수출 시 컨테이너는 CY 혹은 CFS 라는 곳을 거치게 되는데, CY (Container Yard) 란 컨테이너 야적장, 혹은 보세구역으로 불리는 곳이다. 이 곳에서 컨테이너의 반출입이 이뤄진다. *보세구역이란, 관세부과를 유예하는 구역이란 뜻으로 수출 화물이 통관 및 출항 전에 대기하는 장소로 보면 된다. CY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위치에 있으며, 요즘처럼 수출입 물류 대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모선의 접안일에 맞혀 지정된 기간 내에 컨테이너를 CY 내 입고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요즘은 "선사 위에 터미널이 있다." 란 말이 있을 정도로 수출입 관련하여 터미널은 현재 슈퍼 갑의 위치해 있다.. *선사 : 선박회사의 준말로, HMM,..
터키 리라화 폭락 터키는 동서양의 교차로 이스탄불을 품고 있는 아름다운 나라다. (터키의 실제 수도는 내륙에 위치한 앙카라임). 옛 부터 무역이 번성하였으며, 실크로드의 종착지가 터키 이스탄불이였다. 현재는 관광업, 섬유 및 식품 가공업이 발달되어 있는 나라다. 최근 터키의 리라 가치가 매우 떨어졌는데, 한 때 터키에서 살아본 자로서 마음이 좀 아픈 일인 거 같다. 지금도 가끔 터키 친구들과 안부를 묻곤 하는데, 터키 경제가 매우 어려워져 예전만큼 생활이 녹록치가 않다고 그런다. 그렇다면 터키 리라화는 왜 떨어졌을까 현재 터키의 리라화 가치는 1달러당 13.44리라 정도 된다. 2013년에는 1달러당 2리라 정도 되었는데, 현재는 무려 그 가치가 당시에 비해 85%나 떨어졌다. 터키 리라화 가치 폭락의 과정은 201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