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Exchanged Traded Fund)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한 펀드입니다.
그래서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르며, 인덱스 펀드와 주식 거래의 장점을 모두 갖추어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되며 패시브 펀드라 불림
ETN(Exchange Traded Note)
우리말로 상장지수증권 또는 상장지수채권이라고 부르며, 거래소에 상장되는 지수추종형 상품임.
추종하는 기초지수의 변화율과 ETN의 수익률이 연동되는 수익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ETF(상장지수펀드) 와 매우 유사한 수익구조임. 그러나 포트폴리오에 직접투자하는 ETF와 달리 발행사가 자기신용으로 신용을 보증하는 채권의 형태를 띄고 있으므로 신용위험이 존재함.
(ETN에는 신용위험이 있기 때문에 증권사를 잘못 선택했다가는 돈을 다 잃을 수가 있다. ETF에 비해 상대적으로 RISK가 큼, 그럼에도 불구하고 ETN의 MERIT는 추적오차율, 괴리율이 없다는 점이고, 상대적으로 ETF에 비해 지수추종이 정확하다는 것이다. 투자 수익률은 글쎄..)
ETF, ETN에 투자하기 위해서 아래 몇 가지 용어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기초지수
ETF가 추종하고자 하는 지수를 말함. 비교지수, 벤치마크 등으로도 불림. 기초지수 수익을 ETF가 연동함.
*LP(Liquidity Provider) 유동성 공급자
LP는 유통시장에서 ETF ETN의 유동성을 책임지는 증권회사임
LP는 일정 수준의 호가 범위 내에서 매수와 매도의 물량공급을 해야합니다.
*괴리율
괴리율은 ETF 시장가격과 기준 가격(기초지수)의 차이를 말함. ETF 특성상 괴리율을 발생할 수 있다.
이게 비정상적으로 크고 오래 지속될 경우 LP 유동성 공급으로 적정가격을 맞추기도 함
*콘탱고와 백원데이션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은 선물만기곡선의 구조를 정의하는데 이용되는 용어입니다.
시장이 콘탱고 상태일 때에는 선물계약의 (선도)가격은 현물가격보다도 높습니다.
이와 반대로, 시장이 백워데이션 상태일 때에는 선물계약의 가격은 현물 가격보다도 낮습니다.
실물인도되는 선물계약의 경우에는 콘탱고 상태일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보관 비용, 보유비용으로도 알려진 금융 비용, 그리고 보험료 등 펀더멘털 요인들 때문입니다.
선물가격은, 시장참가자들이 미래의 예상되는 현물가격에 대한 전망을 바꿀 때마다, 그래서 선물만기곡선이 달라질 때마다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을 왔다 갔다 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합니다.
*ETF 종류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 중국 전기차 시장, 중국의 전기차 밸류체인에 투자하는 ETF
KODEX 코스피 : 코스피 포함된 전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 수익률을 추적하는 ETF
'재테크 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월세 전환율 (0) | 2022.01.11 |
---|---|
중위소득 (0) | 2022.01.10 |
의료비 본인부담 상한제 (0) | 2022.01.10 |
가구 순자산, 소득분위 (0) | 2022.01.09 |
지역주택조합, 지주택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