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관련정보

지역주택조합, 지주택

728x90
반응형

 지역주택조합(지주택)이라고 해서 무주택자, 전용면적 85제곱미터 미만의 1주택자 혹은 해당 구획에 주택 소유자들이 조합을 설립하고 일정 수준이상의 토지를 확보하여 아파트를 건립하는 사업이다. 아마.. 공중파 다큐를 통해 지역주택 조합 사기 및 실패사례에 대해 보셨을 수도 있다.

 지주택은 위험한 투자이며 주의해야할 것이 있다. 지주택의 경우 주변시세 분양가 보다 보통 30% 저렴하다는 식으로 투자자들을 모은다. 그러나 실제로 지주택이 운 좋게 착공이 되더라도, 초기에 약속했던 분양가가 아닌 추가분담금이 발생할 여지가 크다.. 그리고 재개발이 아님에도 100% 사업이 될 거처럼 투자자들을 현혹한다. (재개발 투자도 착공 및 입주까지 쉽지가 않다..) 그리고 이 곳은 해당 지역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들이 투자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조합원들의 동의 및 합의가 일치하는데 매우 어려운 과정이 따른다.(이 점이 특이하며, 재개발, 재건축과 다르다.)

 

 재건축 재개발은 해당 지역 주택 및 토지 소유자들이 조합원이 되어 일정 기준이 충족이 되면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사업승인 및 관리처분 인가를 받아 진행하는 것으로 성공확률이 꽤 높다. 반면 지주택은 해당 지역의 땅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땅을 사서 돈을 모아서 개발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해당 지역의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지 사용에 대한 매매계약서가 아닌 사용 동의서 80%와 토지확보권 15% 만 갖고서 분양을 모집하고 추후 95% 토지 확보를 완료해야 관청에서 사업승인를 인가해 준다. (재개발은 75%임), 이 때 95% 토지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중도에 사업이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대략 10개 지주택 사업중에 1개 정도(5~10%) 될 정도로 리스크가 매우 큰 투자다. 

 

지주택 절차

주택조합원 모집 신고(토지사용권원 50% 이상 확보) → 지구단위계획 수립(지구단위계획 수립 기준 대상만 신청) →

주택조합 설립 인가(토지사용권원 80%이상, 토지확보권 15%이상) → 건축 심의, 경관 심의 등 →

택건설사업계획승인 신청(토지확보권 95%이상)

 

한국주택경제 기사 이미지 캡처

 

성공사례가 드문 지주택의 성공확률을 높기 위해서는 아래 세 가지 조건이 좋아야 한다.

그래도 실패할 확률은 크다.. ㅠㅠ

 

1. 입지가 좋아야하고,

입지가 좋아야 투자성과가 좋을 확률이 높고 그렇다면 조합원 및 해당 지역 거주민들의 해당 사업에 대한 진행에 대한 동의가 원활하게 이뤄질 확률이 높다.

2. 동의률이 좋아야되며, 지주택은 재개발과 다르게 해당 지역의 95%의 토지확보권이 확보되어야 한다. 해당 사업에 대한 동의률이 높을 수록 성공할 확률이 높다.

3. 조합이 좋아야한다. 지역주택조합이나 재개발 모두 해당되는 이야기지만, 해당 조합장 및 조합원들의 사업에 대한 의지와 취지가 좋아야 한다. 큰 돈이 오가고 부대비용 또한 많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합장 및 조합원들은 투명하게 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이어야 한다.

 

 그런 말이 있다. 누군가의 원수가 되고 싶다면 지주택을 추천하라고,, 그만큼 지주택 투자는 공부를 많이하고 최대한의 리스크를 고려하고 투자의 임해야 한다..

반응형

'재테크 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비 본인부담 상한제  (0) 2022.01.10
가구 순자산, 소득분위  (0) 2022.01.09
IRP, 개인퇴직연금  (0) 2022.01.06
태평양물산,  (0) 2022.01.06
연금저축, 연금펀드 세액공제  (0) 2022.01.05